본문 바로가기
음식의 역사, 효능, 특징/수산물 이야기 (역사, 효능, 특징)

국민 반찬 멸치의 역사와 효능 및 특징

by N잡882호 2023. 10. 5.
728x90

멸치는 대부분의 해역에서 발견되는 소형 어류로, 많은 나라에서 중요한 식재료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멸치는 일반적으로 2년 이내에 성장하며, 대부분의 종류가 20cm 미만입니다. 멸치는 군집을 이루고 다닙니다. 그래서 대량으로 잡히면서 산업적으로도 중요한 어종 중 하나입니다.

 

1 멸치의 역사

 1) 고구려 시대(기원전 38년~기원후 668년)에 건조된 멸치를 만드는 기술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고려 및 조선시대 

 기록에 따르면 멸치는 고려와 조선 시대부터 한국 사람들에게는 친숙한 물고기입니다. 조선시대의 여러 문헌에는 멸치 관련 기록들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시기에 이미 멸치를 이용한 다양한 요리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2. 멸치의 활용

 1) 전통 발효 식품

 멸치를 이용한 발효 식품인 '멸치젓'은 한국의 전통 발효 식품 중 하나입니다. 오랫동안 여러 지역에서 제조되어 왔으며, 멸치젓은 강한 짠맛과 향이 있어서 국물 요리의 간을 맞추는 데 주로 활용되어 왔습니다.

2) 20세기 후반~21세기 초

 경제성장과 함께 식품산업이 발전 하면서, 멸치도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발전되었습니다. 특히 인스턴트 라면의 육수 재료로 멸치가 포함되면서, 멸치의 중요성도 더욱 높아졌습니다.

 

3. 멸치의 상업적 가치

 1) 한국은 멸치의 주요 수출국 중 하나입니다. 특히 일본으로의 수출이 활발합니다. 말린 멸치, 멸치 육수, 멸치젓갈 등 다양한 형태의 멸치 제품이 만들어져서 수출되고 있으며, 그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2) 지역 특산물로서도 가치고 높아지고 있습니다. 남해안 지역은 멸치의 주요 멸치 어장으로, 이 지역 멸치는 특히 품질이 좋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멸치 축제나 행사 등이 개최되며 지역의 특산물로서 가치가 공고히 되고 있습니다.

 3) 멸치는 다양한 요리법과 전통적인 조리 방법이 전승되면서 문화적 가치도 가지게 되었습니다. 멸치 볶음, 국물, 젓갈 등의 요리는 한국 밥상 문화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면서 오랜 시간 동안 사랑받아 왔습니다.

4. 멸치의 효능 

멸치는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여러 가지 효능을 가져다줍니다.

 1) 오메가3 지방산

 멸치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은 심장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뇌 건강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뼈 건강

 멸치는 뼈 건강에 도움을 주는 미네랄과 영양소를 공급해 주면서 뼈 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3) 단백질

 작지만 강한 생선 멸치는 우수한 단백질 재료입니다. 근육 및 조직 구축, 세포 생성 및 복구, 그리고 효소 및 호르몬 생성에 기여합니다.

 4) 미네랄

 멸치는 칼슘, 아연, 철분, 마그네슘, 인 등 다양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멸치는 뼈 채로 먹는 생선이기 때문에 칼슘 섭취에 큰 도움이 됩니다.

 5) 비타민

 멸치는 여러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는데, 특히, B그룹의 비타민 함유도가 높습니다. B12 비타민은 뇌 기능, 신경 시스템 및 혈액 형성에 중요한 임무를 맡고 있습니다.

 6) 천연 발효식품의 효능

 멸치젓갈 같은 발효식품은 장 건가에 좋은 프로바이오틱스를 제공합니다.

 

5. 멸치의 특징

 멸치는 그 작은 크기와 유사한 여러 어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1) 크기

 멸치는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진 어류로서 어른 멸치는 10~20cm 정도로 자랍니다.

 2) 몸의 형태

 멸치는 납작하고 좁은 몸체를 가지며, 몸의 옆면은 은색의 섬세한 줄무늬가 있습니다.

 3) 생태계에서의 위치

 멸치는 먹이사슬에서 하위에 위치하는 생물입니다. 주로 플랑크톤을 먹이로 합니다. 동시에 큰 물고기나 해조류, 새 등에게는 먹이가 됩니다.

 4) 번식

 멸치는 대량으로 알을 낳아, 한 번의 산란으로 수만 개의 알을 낳을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멸치는 매우 빠른 번식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5) 어획 및 가공

 멸치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 중 하나입니다. 대규모 어획이 이루어지고, 건조, 발효, 소금에 절임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가공되어 판매됩니다.

 6) 생태적 중요성

 멸치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먹이 사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이는 멸치가 많은 해양 포식자들에게는 중요한 먹이원이기 때문입니다.

6. 멸치의 활용 방법

 1) 멸치 육수

 한국 요리에서는 국물의 기본 육수로 멸치를 자주 사용합니다. 멸치육수는 김치찌개, 된장찌개, 뭇국 등 다양한 국물 요리의 기본이 됩니다.

 2) 반찬

 건조된 멸치를 기름에 볶아 간장, 고춧가루, 마늘 등의 양념과 함께 조리하면 맛있는 마른반찬이 됩니다. 

 3) 멸치젓

 멸치를 소금에 장기간 발효시켜 만든 '멸치젓'은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으로 강한 짠맛과 향이 특징입니다. 

 4) 영양제

 최근에는 멸치를 가공하여 영양제나 건강보조식품으로도 활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7. 멸치와 관련된 재밌있는 이야기

 1) 멸치 이름의 유래

 '멸치'라는 이름은 중세 한자에서 '말린 물고기'라는 의미로 유래 되었다고 합니다.

 2) 멸치 조각상

 일본의 도쿄에 있는 스시 박물관에 멸치로 만든 조각상이 있다고 합니다. 이 조각상은 8,000마리의 건조된 멸치로 만들어 졌다고 하네요.

 3) 최대 군집

 멸치는 대규모로 군집 생활을 하는데요. 멸치 떼가 많을 때는 수십억마리가 모여서 최대 댝 15km의 긴 대형을 형성한다고 합니다.

 4) 어린 멸치와 어른 멸치의 차이

 건조된 멸치에서 어린 멸치와 어른 멸치를 구분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바로 등뼈입니다. 어린 멸치는 등뼈를 쉽게 떼어낼 수 있는데 반해, 어른 멸치는 등뼈를 분리해내는 것이 어렵다고 합니다.

 

멸치는 대한민국 밥상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식재료 중 하나로, 알게 모르게 멸치를 많이 섭취하고 있습니다. 

몸에 좋은 멸치 맛있게 많이 먹고, 건강하세요.

 

728x90